학교교재로 구매했어요 총 여섯권이던데 네 권 구매했네요!!혼자공부하기는 어렵습니다 열심히 한다면 문학사 체계를 잡는 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혼자 공부하기에 좋다하는데 개인적으로 저는 이해 안 가는 부분이 많아서 독학은 힘들 것 같아요 교수님 설명이 곁들여져야 시너지를 내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문학통사 제4판. 1982년~1988년에 걸쳐 출간된 제1판을 수정하여 1989년에 제2판이 출간, 다시 손질한 제3판이 1994년에 출간된 이래로 제4판이다. 한국문학사 서술에서 얻은 원리와 밝힌 사실이 동아시아 문학사에 어떻게 적용되고 세계문학사의 새로운 이해에 어람나 기여하는지 검증하는 작업을 다각도로 하여, 사회사나 사상사를 포괄해 문학사 이해의 범위를 확대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9.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문학 제1기 조선후기
9.1. 민족 수난에 대응한 문학 3―9
9.1.1. 시대변화의 계기 3―9
9.1.2. 임진왜란을 증언한 실기 3―13
9.1.3. 잡혀간 사람들의 시련 3―20
9.1.4. 병자호란의 경우 3―25
9.1.5. 시가에서 이룬 체험 변용 3―29
9.1.6. 허구적 상상에서 제기한 문제 3―44
9.2. 정통 한문학의 동요와 지속 3―51
9.2.1. 비판과 반성의 소리 3―51
9.2.2. 권필과 허균 3―56
9.2.3. 한문사대가 3―61
9.2.4. 복고 노선의 확대 3―68
9.2.5. 사상의 근거에 관한 논란 3―75
9.2.6. 인습과 혁신 3―79
9.3. 소설시대로 들어서는 전환 3―89
9.3.1. 소설의 전반적 양상 3―89
9.3.2. ‘전’이라고 한 한문소설 3―94
9.3.3. 영웅소설 유형의 국문소설 3―101
9.3.4. 불교적 상상의 경이 3―109
9.3.5. 우화소설의 기여 3―112
9.3.6. 중국소설과의 관계 3―116
9.3.7. ㆍㆍ 3―122
9.4. 문학의 근본문제에 관한 재검토 3―130
9.4.1. 논의 방식의 다양화 3―130
9.4.2. 문학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이해 3―135
9.4.3. 창작방법 재정비 3―141
9.4.4. 민족문학론의 등장 3―148
9.4.5. 소설에 관한 논란 3―155
9.5. 문학담당층의 확대 3―163
9.5.1. 여성문학의 세계 3―163
9.5.2. 위항문학의 위상 3―171
9.5.3. 전문가객의 기여 3―187
9.5.4. 판소리광대의 활약 3―192
9.5.5. 소설과 관련된 생업 3―196
9.6. 실학파문학이 개척한 방향 3―203
9.6.1. 이익과 그 후계자들 3―203
9.6.2. 홍대용과 박지원 3―209
9.6.3. 이덕무ㆍ유득공ㆍ박제가ㆍ이서구 3―218
9.6.4. 이옥ㆍ정약용ㆍ이학규 3―224
9.6.5. 김정희 이후의 동향 3―232
9.7. 민요ㆍ민요시ㆍ악부시 3―238
9.7.1. 민요 이해의 내력 3―238
9.7.2. 민요의 실상과 변모 3―241
9.7.3. 한시의 민요 수용 3―247
9.7.4. 국문시가의 한역 3―256
9.7.5. 악부시의 성격과 양상 3―263
9.7.6. 육담풍월과 언문풍월 3―278
9.8. 시조의 변이와 사설시조의 출현 3―284
9.8.1. 사대부시조의 재정비 3―284
9.8.2. 사대부시조의 변이 3―294
9.8.3. 작자층의 확대에 따른 변모 3―307
9.8.4. 전문가객의 작품 3―316
9.8.5. 사설시조의 유래와 특성 3―321
9.8.6. 사설시조의 작품 세계 3―329
9.9. 가사의 다양한 모습 3―338
9.9.1. 사대부가사의 재정착 3―338
9.9.2. 사대부가사의 변모 3―346
9.9.3. 유배와 여행의 체험 3―352
9.9.4. 역사와 지리를 다룬 작품 3―363
9.9.5. 교훈가사의 모습 3―366
9.9.6. 달라지는 사회상 3―376
9.9.7. 규방가사의 전형과 변형 3―384
9.9.8. 애정가사의 양상 3―393
9.9.9. 잡가의 출현 3―398
9.10. 불교ㆍ도교ㆍ천주교문학 3―403
9.10.1. 불교한시의 맥락 3―403
9.10.2. 불교가사의 기능 확대 3―411
9.10.3. 도교문학의 가능성 3―418
9.10.4. 천주교문학의 출현 3―423
9.11. 한문과 국문, 기록과 표현 3―431
9.11.1. 이해의 시각 3―431
9.11.2. 대외 관계의 경험 보고 3―433
9.11.3. 국내 문제의 증언 술회 3―439
9.11.4. 기행문의 다양한 모습 3―447
9.11.5. 묘지명ㆍ전ㆍ행장의 변모 3―454
9.11.6. 몽유록과 가전체의 모습 3―462
9.11.7. 여성생활과 국문 사용 3―469
9.12. 설화ㆍ야담ㆍ한문단편 3―477
9.12.1. 구전설화의 변모 3―477
9.12.2. 야담 집성의 양상 3―483
9.12.3. 야담의 변모 과정 3―490
9.12.4. 박지원의 작품 3―497
9.12.5. 김려와 이옥의 기여 3―505
9.13. 소설의 성장과 변모 3―510
9.13.1. 가공적 영웅의 투지 3―510
9.13.2. 여성 주인공의 영웅소설 3―519
9.13.3. ㆍ계 소설의 변모 3―524
9.13.4. 대장편으로 나아가는 길 3―533
9.13.5. 애정소설의 새로운 양상 3―552
9.13.6. 세태소설의 등장 3―556
9.13.7. 한문소설의 변모 3―561
9.14. 서사무가에서 판소리계 소설까지 3―565
9.14.1. 세 가지 구비서사시 3―565
9.14.2. 서사무가의 전승과 변모 3―567
9.14.3. 서사민요의 모습 3―575
9.14.4. 판소리의 형성과 발전 3―579
9.14.5. 판소리 열두 마당 3―585
9.14.6. 판소리계 소설의 작품 세계 3―589
9.15. 민속극의 저력과 변용 3―597
9.15.1. 민속극의 특징 3―597
9.15.2. 무당굿놀이 3―599
9.15.3. 꼭두각시놀음과 발탈 3―604
9.15.4. 농촌탈춤ㆍ떠돌이탈춤ㆍ도시탈춤 3―610
9.15.5. 도시탈춤의 구조와 주제 3―619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