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기 김시습의 <금오신화>에서 그 뚜렷한 성과를 드러낸 이래, 17세기 초 허균의 <홍길동전>이 등장하기까지 우리 소설사에서 16세기는 그동안 연구자들의 주된 관심 영역에서 벗어나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그처럼 문학사의 긴 공백기에 의문을 품었던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16세기의 소설 작품을 찾아내고, 그 성과를 보고하는 작업들은 그동안 지속적으로 시도되었다.이 책은 16세기의 소설사를 연구하여 그 결과물을 엮어낸 것이다.책의 제목을 <묻혀진 문학사의 복원>이라 붙인 이유는, 그동안 소설사에서 공백기처럼 여겨졌던 이 시대의 소설들을 발굴하고 연구하여 구 공백을 메꾸고자 하는 의도가 개재해 있을 것이라 추측된다.<설공찬전과>과 <기재기이> 등의 작품들은 16세기에 창작된 작품으로 주목을 받아왔지만, 심도 있는 연구가 뒤따르지 못했던 것도 사실이다.따라서 이 책에서는 그동안 제대로 가치를 평가받지 못했던 16세기 소설사를 ‘복원’한다는 생각으로 다수의 연구자들이 그 결과물을 제출하고, 그것들을 엮어 낸 성과라 할 수 있다.16세기는 성리학이 정착하고, 서로 다른 당파가 서서히 등장하던 시기였다.그러한 시대의 정치적 사회적 맥락을 살피고, 문학사의 흐름을 주시하면서 각 작품들이 차지하는 위상을 점검하고 있다 여겨진다. 다양한 논문들을 통해 16세기에 창작된 작품들의 실상과 향유 양상, 그리고 작품에 대한 새로운 관점에 이르기까지 소설사의 맥락을 주목하고 있다.그리하여 이 책을 통해 그동안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던 16세기 소설사의 지형도를 새롭게 그릴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으면 좋겠다.(차니)
책머리에
1부 16세기 서사문학사의 지형
16세기 소설사의 지형과 위상: 이념의 서사, 흥미의 서사, 욕망의 서사 / 김현양
조선 전기 귀신이야기에 나타난 신이(神異) 인식의 의미 / 조현설
1. 신이 인식과 유가적 주체의 문제
2. 경연과 상소 그리고 귀신의 위치
3. 조선 전기 귀신이야기에 나타난 신이 인식의 두 형식
4. 귀신이야기의 탈유가적 성격과 조선 전기 서사문학사의 변동
5. 신이의 문학사를 위하여
조선 전기 필기·패설·전기의 넘나듦 / 김준형
1. 조선 전기 필기·패설·전기
2. 필기·패설·전기의 넘나듦의 양상과 의미
3. 단편 서사류의 장르 교섭을 위한 제언
중국소설의 국내 유입과 향유 양상 / 윤세순
1. 고전소설에서 중국소설의 영향
2. 중국소설의 유입 배경
3. 16세기 중국소설의 향유 양상과 그 의미
4. 여언(餘言)-소설독자층의 형성 문제
형식과 이데올로기의 불화: 16세기 몽유록(夢遊錄)의 생성과 전개 / 조현설
1. 왜 몽유록인가?
2. 16세기 새로운 서사 환경과 몽유록의 생성
3. 형식과 이데올로기의 불일치
4. 16세기 몽유록의 소설사적 위상
소설 주해 작업의 현실적 기반: 전등신화구해(剪燈新話句解) 의 경우 / 신상필
1. 전등신화 와 그 주변
2. 전등신화 에 관한 논란과 변증
3. 전등신화구해(剪燈新話句解) 성립의 정황
4. 전등신화 독서열과 그 학습의 현장
4. 보론-이본과 명칭에 대하여
표기문자 전환에 따른 16~17세기 소설 미학의 변이 양상 / 정출헌
1. 표기문자 전환을 다루는 시각
2. 16세기 고전소설의 문학사회학적 지평과 표기문자 전환의 맥락
3. 고전소설의 표기문자 전환과 그 미적 변이 양상
4. 앞으로의 과제
2부 작품의 실재와 양상
「설공찬전(薛公瓚傳)」파동과 소설인식의 추이 / 정환국
1. 금서(禁書)와 소설
2. 16세기 벽두에 터진 「설공찬전」파동
3. 소설 인식의 변화와 그 향방
4. 새로운 전망
기재기이(企齊記異) 의 성격과 위상 / 신상필
1. 기재기이 독법의 전개
2. 전기소설의 전통에서 본 기재기이 의 주제화 양상
3. 작자의식의 지향과 그 소설사적 분기(分岐)
4. 기재기이 의 소설사적 위상
필기(筆記)의 새로운 국면: 기묘록(己卯錄) · 용천담적기(龍泉談寂記) / 장영희
1. 16세기 필기의 변모
2. 기묘록(己卯錄) 의 기록적 특징
3. 용천담적기(龍泉談寂記) 의 기록적 특징
4. 필기의 전통과 16세기 필기의 기록문학적 특징
이념의 서사화, 「천군전(天君傳)」 / 장경남
1. 「천군전」의 등장
2. 16세기 소설사의 한 경향 - 이념의 소설화
3. 「천군전」의 서사적 특성과 의미
4. 소설 문학의 지평 확장의 계기
대중화의식(對中華意識)의 구현체, 「최고운전(崔孤雲傳)」 / 조상우
1.「최고운전」의 존재
2. 대중화의식(對中華意識)의 형성 배경
3. 「최고운전」에 내포된 대중화의식의 의미
「은아전(銀娥傳)」을 통해 본 인물전의 한 양상 / 한의숭
1. 비교 연구의 미시적 접근
2. 「은아전」의 서술 분절 비교
3. 「은아전」의 서술 양상과 그 의미
4. 전(傳)의 변모 과정에서 구전(口傳)의 역할
16세기 후반 소설사 전환의 징후와 「수성지(愁城誌)」 / 김현양
찾아보기
카테고리 없음